예술경영지원센터 K-ARTMARKET

HOME 기획활용 기획컬렉션

기획컬렉션

포스트형

박서보 작가의 대표작 : 작가의 세계속으로 초대

등록자
등록일
2024-04-08

박서보 작

원로작가 박서보

박서보의 대표작을 소개합니다.

한국의 살아 있는 현대미술이라 칭해지는 박서보는 말 그대로 한국 현대미술이 걸어 온 60년의 세월을 그의 작업 속에 오롯이 담고 있다. 1931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출생한 박서보는 1955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한 후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로 대변되는 관전 아카데미즘이 화단의 주류를 점하던 시절전쟁을 겪은 인간의 고뇌를 반영한 앵포르멜 운동의 기치를 내세우며 <원형질(原形質)>시리즈를 선보임으로써 화단의 이단아로 등장한다이후, 60년대 중반에는 도시화와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한국의 오방색과 기하추상을 결합한 <유전질(遺伝質)> 시리즈를 시도하는가 하면텅빈 인간의 모습을 통해 현대인의 삶을 고발한 <허상(虛像)> 시리즈를 발표하고, 1970년대에 이르면 동양적 자연관과 예술관을 반영한 <묘법(描法)> 시리즈를 선보인다. <묘법시리즈는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자기를 비워내는 동양의 무위자연 이념을 작업에 담은 것으로 초기의 그것이 연필이나 철필로 선과 획을 반복적으로 긋는 행위에 기초하였다면한지를 적극적으로 작업에 끌어들인 1980년대 이후의 작업에서는 종이 스스로 드러날 수 있도록 무한히 반복되는 행위를 통해 바탕과 그리기가 하나로 통합된 세계를 보여준다. 되는 자료이며 기록이다.




[그림] 정약용 유배지

박서보의 작품세계

대표작 모음.

이처럼 <묘법시리즈를 통해 한국적 모더니즘을 구현한 박서보는 한국미술의 발전을 위해 앙데팡당현대미술제에꼴 드 서울》 등을 통해 신인 발굴현대미술의 중앙집권화 탈피현대미술의 선양을 위한 미술계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단색화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이러한 측면에서 살필 때박서보는 우리나라 미술계 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자이자기획자이며작가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세계화와 동시대화를 위해 노력한 대표적 작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는 그 때에도
오히려 꼴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이육사 <꽃-이육사 >

「꽃」은 이육사가 감옥에서 「광야」, 「청포도」 등과 함께 남긴 작품으로 작고 후에야 《자유신문》 1945년 12월 17일자에 발표되었다. 절망적이며 극한적인 상황에 대한 극복 의지와 새로운 세계의 도래를 확신하는 기대를 보이는 작품으로, 독립지사 시인의 굳은 지절을 읽을 수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