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요배는 한국현대미술가로, 역사와 사회와의 관계, 자연과 우주의 시공간을 교감하는 인식적 과정을 두 축으로 자아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으로서 회화 작업을 지속해왔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에서 서양화를 수학한 다음, 1980년대 초중반까지 6여년 고등학교 미술교사로서 활동했던 강요배는 창의적인 미술교육으로 당대 미술계 흐름에서 시각문화 교육의 선구안을 보여줬다. 또한 강요배는 1981-1989년까지 한국현대미술계에서 모더니즘 이후 민중미술계열 미술운동이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등장할 때, 새로운 분기점을 견인한 미술운동‘현실과 발언’의 동인으로 참여한다. 이 시기 그는 노장 철학이나 제주의 풍토적인 세계에 바탕을 둔 민족적 정서, 토속적인 화풍으로 생존의 지평에 선 자신의 실존적 세계관을 담는다. 다른 한편, 출판미술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동화, 신문연재소설 삽화 등 1,000점에 달하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대중과 소통하는‘삶의 미술’을 펼쳐보였다.
1989년 무렵부터 실존적인 개인의 성장사와 맞닿아 있는 제주섬의 역사에 드리워진 상흔을 반성적 시각으로 마주한 그는, 3여년의 철저한 역사적 사료조사와 현장답사를 거쳐, 제주 4.3항쟁의 장구한 어둠의 역사를‘제주 4.3 항쟁사-동백꽃 지다’(학고재, 1992) 50점으로 재구성하여 역사풍경화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였다. 역사적 진실을 플롯화한 서사성과 섬세하고 서정적인 표현력으로 사회적 공명을 일으킨 강요배의‘동백꽃 지다’시리즈는 1992년(서울, 대구, 제주), 1998년(서울, 제주, 광주, 부산), 2008년(제주) 특별전을 거치는 동안‘동백꽃’이‘제주4・3의 정명(正名)’의 상징적 메타포로 자리잡는 데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1992년 봄, 강요배는 고향 제주섬으로 돌아간다. 유소년기부터‘그리기’와 ‘생각하기’를 체화한 섬소년의 예민한 감수성을 품은 채, 파도의 격렬함과 바람의 스침을 생체 리듬에 감응하며 청소년기를 보냈던 제주섬으로 귀환한 그는 자연과 우주와의 대화를 다시 시작한다. 그리하여 생태적인 자연의 운행(運行)을 관찰하며 일상 속의 심미적인 교감을 풍경 속에 투영한 정서적 환기력이 풍부한 자연 풍경화로 화업의 전환기를 맞이한다.
2010년대 이후 강요배는 심상(心象), 『주역』에 대한 사유로 해득하려는 괘상(卦象), 내 생각을 남과 공감하고 공유하며 공동체의 추상(抽象)을 추구하는 독자적인 자기 화론을 심화해서, 역사적 기억을 내재한 대자연의 풍경으로 드러낸다.
작가의 초기 활동에서 민중미술계열 작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고 제주 4.3역사화로 늘 호명되지만, 강요배의 심성은 인문주의적이고 철학적인 탐구에 좀더 밀착되어 있고, 심미적 자율성에 의탁하여 자신의 내면의 변화에 천착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로인해 그의 회화세계는 현실적인 문제나 삶의 내용을 다루더라도 직접적으로 주장을 드러내는 주제적인 요소보다는 관조적인 태도로 응시하는 심경(心境)의 반영으로 은유적이고 암시적이며 절제된 화면구성을 보인다. 강요배의 회화 세계는 소박한 일상을 드러내는 민중적 정서에 가까운 소재를 다룰 때에도 정갈하게 감각이나 감정을 응축한 핵심적인 요소로 추상화되어 탐미적인 세계로 구현되기도 한다.
강요배의 회화세계는 현실에서 포착한 풍경을 자신의 기억의 흐름 안에서 해체적으로 변주하여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표현주의적 회화, 전통 문인화의 사의(思意)적 요소와 산수화의 현대적 변용 등 리얼리즘에 기반한 추상세계를 확장하고 있다. ‘나’를 찾아가는 과정으로서 그림 공부,‘마음의 무늬’를 그리는 것을 꿈꾸는 강요배의 회화적 여정은 심상(心象)을 찾아 여전히 나아가고 있다.
학력 및 주요 수상 이력
1952 제주출생
197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82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2024 호반미술상, 호반문화재단
2023 제5회 제주 4・3 평화상 특별상,
2020 제21회 이인성 미술상, 대구미술관, 대구
2018 옥관문화훈장
2015 제27회 이중섭 미술상, 조선일보문화사업단, 서울
1998 민족예술상,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서울
* 개인전
연구수행기간 기준(1976.5.29.-2022.09.30.)
2022 첫눈에, 학고재, 서울
2021 제21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전,“강요배: 카네이션-마음이 몸이 될 때”,
대구미술관, 대구
2020 금강산과 DMZ, 제주국제평화센터, 제주
2018 메멘토, 동백, 학고재, 서울
상(象)을 찾아서, 학고재, 서울
2016 제27회 이중섭미술상 수상작가 강요배 초대전, 시간의 창, 이중섭미술관, 제주
한국현대미술작가, 강요배: 시간 속을 부는 바람,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15 제27회 이중섭미술상 수상기념전, 소리,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2014 강요배 그림 <소나기> 원화전, “소년, 소녀를 만나다”,
제라진그림책갤러리, 제주
강요배 소묘: 1985-2014, 학고재, 서울
2013 강요배, 학고재, 서울
2011 풍화,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 제주
2009 강요배의 습작시절, 제주교육박물관, 제주
2008 스침, 학고재, 서울
제주4・3 평화기념관 개관기념 특별전: 강요배의 4・3역사화-동백꽃지다,
제주4・3평화기념관, 제주
2007 섬 빛깔, 제주문예회관, 제주
2006 땅에 스민 시간, 학고재, 서울
강요배, 아트스페이스 씨, 제주
2003 강요배, 학고재, 서울
1999 금강산, 아트스페이스 서울, 서울
1998 4・3 50주년 기념-동백꽃 지다,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송원갤러리, 광주; 가톨릭센터, 부산; 월성문화관, 대구
1995 섬 땅의 자연, 조현화랑, 부산
1994 제주의 자연,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제주자연전, 데미화랑, 광주
1992 제주 민중항쟁사, 학고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단공갤러리, 대구
1976 각(角), 대호다방, 제주
* 작품 소장처 및 기증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과천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부국문화재단, 광주
경기도미술관, 안산
대구미술관, 대구
기타 개인소장 다수
단체전 266회
아트페어출품 43회
(상세 내역 첨부 파일 참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목록